전시 《If I can’t dance, I don’t want to be a part of your revolution》는 20세기 초 여성 운동을 이끌었던 엠마 골드만이 뱉은 위 단어들의 움직임 자체에 우선 주목한다. 뉴욕 노상에서 판매하는 티셔츠의 문구이다가 암스테르담의 예술 기관명이다가 다시 서울의 전시 제목으로. 본 전시는 이 단어 조합의 형태 없고 경계 없는 퍼포먼스를 통해 이론가 폴 프레시아도가 주장하는 퀴어적 혁명의 가치를 다양한 영역의 예술가들-일러스트레이터, 안무가, 댄서, 시인, 조각가, 그래픽 디자이너, 제페토 메타버스 제작자 등-과 함께 실천해보고자 하였다.


Stemming from the words of Emma Goldman who led the women’s movement during the early 20th in the US, If I can’t dance, I don’t want to be a part of your revolution focuses on the very movement that these words had created. Once being on a T-shirt sold at a street of NYC, then being a name for the arts institution in Amsterdam, and finally being a title of the exhibition in Seoul. Buttressed by this formless and borderless performance created by the combination of words, this exhibition aims, by inviting artists in various fields such as illustrator, choreographer, dancer, poet, sculptor, designer and metaverse map maker, to grasp and practice the revolutionary values that lied in the ways of queer-ly world making, suggested by the theorist Paul Preciado.





      If I can’t dance,
      I don’t want to be a part of your revolution (2022)    

      Sunmi Yong 용선미     






  KR/EN   


기획자의 편지 CURATOR’S LETTER  

“《If I can’t dance, I don’t want to be a part of your revolution》는 혁명의 기쁨이 입으로 들어가(알렉스 타타르스키) 진동하는 몸을 통과해(권령은) 손가락의 마디 위에서 춤을 추다(허연화) 빛으로 무장한 괴물에 잠입한 채(람한, 이은) 똥구멍으로 가뿐히 나오는(앵 보), 우리 모두가 함께 제안하는 혁명적 시도입니다. 결국 우리는 마찰을 통해 창조적인 움직임을 얻습니다. 발과 발이 바닥을 밀고 손과 손이 마주하며 세상 속 여러 형태의 춤을 만드는 것처럼요. 그래서 저는 우리가 지금 발 딛고 서있는 이 땅이 실은 잘 보이지 않는 존재들이 끊임없는 마찰을 견디며 만들어 낸 자잘한 혁명의 춤 위에 세워진 것이라고 감히 말하고 싶은 것 같습니다. 이 전시에 함께 해 준 다섯 명의 작가들과 그들의 작업, 그리고 모든 협업자들을 통해 말이죠.”


If I can’t dance, I don’t want to be a part of your revolution is a revolutionary attempt that we all propose together: joy of revolution enters a mouth(Alex), passes through a vibrating body(Lyon Eun KWON), dances on phalanges(Hur Yeonhwa), infiltrates into a monster armed with light(Ram Han) and comes out of an anus with ease(Anh Vo). After all, we gain creative movement via friction.6 It’s like how various forms of dance are created as two feet press the floor and two hands to face each other. Hence, with the aid of five artists who participated in the exhibition, their works, and every collaborator, I think I daringly want to say that the earth we are currently standing on is in fact established on the dance of revolution made by hardly visible beings that endure incessant frictions.”




exhibition view © Hong Cheolki



활동북 링크 LINK TO THE PLAYBOOK =>       Link       











Artists



권령은은 안무가이자 무용수이다. 주체적인 몸과 움직임에 대해 관심이 많고 사회 속 다양한 현상과 제도 안에서 그것을 조명하는 작업을 한다. 본 전시에서는 권령은의 과거 작품 중 <암호명 부곡하와이>(2021)의 변환된 버전을 전시장에 소환한다. 한국의 패키지 관광 문화에서 착안한 관객 참여형 퍼포먼스로, 관광과 공연의 유사한 사회적 구조에 의문을 갖는다. 안무가 스스로가 관광 혹은 공연의 ‘설계자’가 되어 관(람)객의 움직임을 유도한다. 이를 통해 관광 버스 혹은 공연장 안에서 이뤄지는 일상으로부터의 도피, 순간적 공동체, (마치 액스터시에 취한 듯한) 몸들의 ‘혁명’을 목격함으로써 “우리는 왜 모여서 춤을 출까?”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우리에게 던진다.

Lyon Eun KWON works as a choreographer and dancer, performing in various forms of arts and scenes. She is mainly interested in the body as subject and its movement and works to illuminate it within various phenomena and institutions in society. In this exhibition, the irritation of one of her past works <Code name Bugok Hawaii> (2021) will be summoned as a performance. It is an audience-participating performance conceived from the Korea’s package-tour culture, navigating the similarities of social structure in tourism and performance. The choreographer herself becomes the architect of tour/performance and tries to induce the movement of spectators, and through this, audiences will be able to get emerged in the moments of escape, thus the ‘revolution’ of bodies.




람한
은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일러스트레이터 겸 만화가다. 주로 태블릿이나 PC를 활용한 디지털 드로잉 작업을 통해 이미지를 생산한다. 본 전시에서는 작가가 만들어 낸 기존의 디지털 페인팅 중 일상적 전복 도구로써 활용될 만한 것들을 모아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Zepeto) 안에서 실제 활용 가능한 아이템으로 제작한다. 크리에이터 이은과의 콜라보 작업으로, 람한의 캐릭터와 아이템을 제페토 참여자/관객에게 전파시킴으로써 혁명의 미세한 파동을 가상 세계 안에 구축해 보고자 한다.

Ram Han
is an illustrator and animator based in Seoul. She produces the images through the method of digital drawing, using tablets or PC. In this exhibition, the items abstracted from her existing drawings will be recreated and itemized for the real usage in the metaverse platform called Zepeto. The audiences/users can acquire these items as a tool for everyday "revolution." In collaboration with the Zepeto creator ii-eun, this new approach of transmission in virtual world will accelerate the revolutionary motions from the real (or not) people.




허연화는 온/오프라인의 풍경들을 기반으로 한정된 공간의 물리적 크기를 전복하려고 시도한다. 유동적인 물질과 신체에 대한 관심사를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환경 안의 입체들을 현실의 재료로 치환하는 작업을 시도하고 있다. 본 전시에서 작가는 현실과 가상, 물질과 비물질을 넘나드는 혼성적 시스템의 구조와 조각 단위의 정보 홍수에서‘세일링’이라는 도구를 꺼내 든다. 불안정하고 가변적인 물이라는 프레임 위에서 진행되는 세일링의 행위 안에 담긴 신체의 유기적인 움직임을 설치, 조각, 프로젝션 등의 여러 매체를 경유하여 보여 준다.

Hur Yeonhwa
attempts to flip the physicality of a limited space constructed in the online/offline and real/virtual landscapes she encounters in everyday life. With the interests of fluid materials and bodies, she attempts to replace the three-dimensional objects in the software environment with real materials. In this exhibition, the artist brings a tool of ‘boat sailing’ and delves into the narrative of a hybrid system that crosses in between reality and virtual, material and non-material that persist in the flood of fragmented unit- information. This will show how the organic movements of the body contained in the act of sailing on the frame of unstable and variable water can be materialized through various media such as installation, sculpture, and projection.




알렉스 타타르스키는 유대계 미국인 안무가/퍼포머이자 광대 연구자이다. 그는 언어 속에 내포된 유희적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광대’ 페르소나를 연구하여 퍼포먼스로 선보인 다. ‘전체주의‘에 대한 저항의 한 방식으로 러시안 미래주의자들의 자움 시와 르코크 무브먼트 교육학 에 관심을 보인다. 본 전시에서 알렉스 타타르스키는 앵 보와 함께 pussy라는 단어의 의미가 외국어의 이질성을 경유하며 탈각되는 형식을 빌어 유희적인 선언문을 공동으로 작성하여 배포한다.

Alex Tatarsky(she/her) is a Jewish-American choreographer/performer and clown. She actively utilizes the playful elements contained in the language to study the 'clown' persona and present it as a performance. As a way of resistance to 'totalitarianism’, she finds her interests Russian futurists’ Zaum poetry and Le Cork Movement pedagogy. Together with Ahn Vo, Tatarsky will create a poetic manifesto of how the word pussy can be dismantled and whimsically reoriented in the current society of Korea. As navigating the unfamiliarity permeated in the foreign language, the word will gain the strength of revolutionary power as a new queering method.




는 베트남 출신의 안무가/댄서 겸 포르노그라피 연구자다. 그는 포르노그라피, 퀴어 관계, 존재와 형태, 정체성과 추상적 관념, 역사와 식민지적 현실에 관한 춤을 만들고 텍스트를 생산한다.  본 전시에는 앵 보의 <넌-바이너리 푸씨> 시리즈 영상 네 편이 소환된다. 이는 개인의 몸을 관통하며 타의로 인해 직조된 베트남 전쟁사를 팝 엔터테인먼트와 정치적 선전 도구를 결합한 형태로서 선보인다. 이상적으로는 집단적 변화와 혁명을 이끌어내고자 하는 미니 콘서트이다.

Anh Vo
is a Vietnamese choreographer/dancer and researcher/writer. He creates dances and produces texts about pornography, queer relationships, existence and form, identity and abstraction, history and colonial reality. In this exhibition, four videos from the Non-Binary Pussy series will be presented. It talks about the history of Vietnam that is vividly weaved onto one’s body as taking a form of a mini-concert that combines pop entertainment and political propaganda tools to provide an immersive experience for the audience, and ideally to bring about collective change and revolution.












Credit


d/p 기획지원 14 선정 If I can’t dance, I don’t want to be a part of your revolution
2022. 7. 5. - 8. 6.
d/p (서울 종로구 삼일대로 428 낙원악기상가 417호)
참여작가: 권령은, 람한, 허연화, 알렉스 타타르스키 & 앵 보
기획: 용선미
그래픽 디자인: 마카다미아 오!
도록 편집: 정소영
글: 용선미, 정소영, 플로라 브랜들
공간 설치: 정진욱
미디어 설치: 올미디어
사진 및 영상 촬영: 홍철기 (스튜디오 수직수평)
번역: 김지선, 황원호
홍보 및 진행: 서헤다

주최: d/p
주관: 새서울기획, 소환사
후원: 우리들의낙원상가, 한국메세나협회,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서울문화재단



d/p curator support 14
If I can’t dance, I don’t want to be a part of your revolution
July 5 - August 6, 2022
d/p (#417, 428, Samil-daero, Jongno-gu, Seoul)
participating artists: Lyon Eun KWON, Ram Han, Hur Yeonhwa, Alex Tatarsky & Anh Vo
curated by Sunmi Yong
graphic designed by Macadamia Oh!
book edited by Soyoung Chung
text by Sunmi Yong, Soyoung Chung, Flora L. Brandl
space designed by Jinwook Jung
media installation: All Media
photo and video: Hong Cheolki (studio SUJIKSUPYUNG)
translation: Jiseon Kim, Wonho Hwang
pr & overall supoort: Heda Seo


hosted by d/p
organized by saeseoul society, sohwansa
sponsored by Nakwonmusic, Arts Council Korea, Korea Mecenat Association,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    [Intro] greenroom        

    +    [Event]  그린룸 greenroom    
          28
th Dec. 2019, Seoul  
    


    +    If I can’t dance,
           I don’t want to be
          a part of your revolution     

          Sunmi Yong 용선미     


    +    O.E. & The Black Tulip     
          Hyun A  현아     

    +    Jesse Chun : Sullae     
          Nayun Jang 장나윤     


    +    Voice of Sila      
          실라의 목소리      
          Yeong-Ran Suh 서영란      


    +    A Place without a Catastrophe    
          カタストロフが訪れなかった場所    
          재난이 비켜난 자리    
          Second Planet 세컨드 플래닛  
  


    +     Shifting Memory into Clay     
           기억의 전환    
 

           Nayoung Jeong  정나영     

    +    Sayadaw and I      
          사야도 이야기 - 구전동화편 
     
          Min Kyoung Lee 이민경    


    +    Spectacles of Normalcy:
          Three Choreographic
          Paradigms of Everyday
          life in NYC       

          정상(正常)의 광경들    

          Rotem Tashach 로템 타샤크    


    +    Non-binary Pussy        
          넌-바이너리 푸씨      
          Anh Vo 앵보    

    +    Unpacking the letters:
           Floating Bottle Projects (2016~)      
           편지 다시보기:
           플로팅 보틀 프로젝트 (2016~)      
           Yeong-Ran Suh 서영란      

    +    Gwangju Biennale and
           ruangrupa, two different
           eyes foreseeing the future      
           광주비엔날레와 루앙루파,
           미래를 내다보는 다른 시선 둘      

           Tiffany Yeon Chae 채연     











Mark